Surprise Me!

[굿모닝경제] 가까스로 환율 1,400원 방어...흔들리는 '10월 물가 정점론' / YTN

2022-09-15 10 Dailymotion

■ 진행 : 정지웅 앵커, 유다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굿모닝 와이티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경제 소식을 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. 오늘 굿모닝 경제는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함께 합니다. <br /> <br />어서오세요. 밤사이 해외 증시 상황부터 살펴보겠습니다. 어제 약간 회복하는 것 같았는데 오늘은 다시 하락 마감했어요. <br /> <br />[이인철] <br />맞습니다. 경제는 심리라는 말이 그대로 적용이 됩니다. 미 증시 역시 마찬가지예요. 전 세계 투자가들이 지금 미 증시를 주목하고 있거든요. 상승출발했어요. 나쁘지 않은 경제 지표, 이른바 소매 판매가 예상보다 좀 괜찮다. 미국인들이 강도 높은 고강도 긴축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하고 있네. 시그널은 나쁘지 않았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상승 출발을 했는데 문제는 다음 주에 있을 FOMC 회의에서 초고강도 긴축이 이어질 것이다라는 우려가 그대로 국채금리에 반영되고 있습니다. 1년물, 3년물, 10년물 국채금리가 동시에 다 올랐거든요. 그러다 보니 이렇게 국제금리가 오르는 건 다음 주에 있을 FOMC 회의를 지켜봐야 한다라는 관망세까지 포함되다 보니까 주요 지수가 일제히 내렸고요. <br /> <br />특히 기술주 중심, 금리에 상당히 민감해요, IT 기업들의 경우에는. 1% 넘게 내렸습니다.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도 0.56% 떨어졌고요. 대형주 중심의 S&P500지수도 1%가량 하락했는데 국채금리의 강세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나 1년물 국채금리가 4%를 넘어섰어요. 1년물이 4%를 넘어섰다라는 건 연준의 기준금리가 연내 4%에 도달할 수도 있다 다라는 의미이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이렇게 이번에 의해서 기준금리는 사실 75BP냐, 100BP냐를 놓고 지금 저울질하고 있습니다. 지금 미국의 금리를 예측해 볼 수 있는 페드워치를 확인해 보니 한 8:2 정도. 75BP 인상 가능성보다 100BP 인상 가능성을 조금 더, 어제보다도 확실히 이번에는 네 단계 한꺼번에 금리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자이언트스텝으로 갈 것이다라는 건데 문제는 뭐냐. 지금 연준은 이번 달 이후에도 11월, 12월 두 차례 남아 있거든요. <br /> <br />그동안 늘상 우리가 경제 지표 발표되거나 잭슨홀 미팅까지만 하더라도 뭐라고 생각을 했느냐. 미국의 기준금리는 내년 상반기에나 가야 4%다 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91607301137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